하루한가지

테라고나

꽃피 5 2,944


이름을 알지 못했는데.. 고객님들이 주신 정보지요...^^
정말 보기드분 녀석인데... 그만큼 정보도 귀하네요...^^
얼핏 소나무 묘목처럼 생긴 이녀석의 정보... 알고 갈까요?^^

Comments

파란사과
꽃피님..
이녀석 이름 다시한번 확인해 주세요..

이녀석 "필로소스"아닌지요..;
테라코나라는 식물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알고 있는 필로소스라는 녀석과 너무도 닮아 이렇게 여쭈어 봅니다.

필로소스는  포툴라카(Portulaca)속 식물로..
학명은 "Portulaca pilosa" 같은 속에 속하는 다육으로는 아악무와 녹비단 등이 있습니다.

필로소스는 성장이 더디며, 작고 앙증맞은 보라색꽃을 피우지요..
꽃이 한번 피면 금방 져버리는 것이 흠이긴 하지만,
꽃이 진 자리에서는 씨앗이 남아..번식을 하게 되죠..^^

혹, 사진속의 녀석이 꽃을 피운 모습을 본 적이 있는지요..?
가을엔 저 푸른 잎도 붉게 물이 들더라구요..^^

필로소스의 잎은 채송화와도 많이 닮았답니다.
(그러고 보니, 채송화의 학명도 Portulaca grandiflora로..같은 속 식물이였군요..^^;;
 *Portulaca속=쇠비름속 식물을 통칭.)

노지월동이 가능하며, 삽목과 씨앗으로 번식이 가능하구요..
햇빛을 좋아하는 녀석입니다.

잎의 자세한 모양을 사진상으로 정확히 확인하기 힘들지만,
잎에 자잘하고 뱀무늬 같은..무늬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필로소스의 잎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투명한 듯 하면서..약간의 무늬가 있거든요..^^

한번 확인..부탁드립니다.^^
kms6590
은서인줄 알았내요
많이 닮았내요
닥터 지킬
이 녀석 학명은 Crassula tetragona ssp. tetragona네요...

일반적으로 C. tetragona라고 하면 이 녀석을 말하지만 현재는 C. tetragona의 아종(ssp.)에 포함된 녀석들이 많아 명확히 구분해서 적어드린 것이구요. 위의 학명은...

현재 제가 확인한 바로는 이 녀석과 Crassula tetragona ssp. connivens 두 녀석이 유통되고 있는 것 같더군요.. connivens는 소형종으로 생각하심 되구요.

영명은 `miniature pine tree`라고 하며, 원산지는 남아프리카로 이 곳에서는 초여름에 흰색, 노란색에 가까운 오렌지색 꽃을 피우죠..

일반적인 관리 요령은 Crassula속에 근거해서 키우시면 되구요...

파란사과님이 언급하신 Portulaca pilosa도 얼핏 사진상으로는 비슷하게 보일수도 있겠네요..

참고로 Portulaca pilosa는 잎의 배열이 다르고, 줄기에도 하얀 털이 있죠. 일반적으로 꽃의 색깔은 노란색인데, 파란사과님이 언급하신 보라색 꽃은 원예품종(cultivar)인 `Shaggy garden purslane`종을 언급하신 것 같네요...
파란사과
그렇군요..

와우..닥터지킬님 놀랍습니다.
네이버에서는 거의 자료르 찾을 수가 없고, 외국 사이트에 접속해 보니..녀석의 자료가 조금 보이네요..^^

지금보니 Portulaca pilosa와 잎의 배열이 좀 다르군요..줄기에 털도 있구요..

Crassula tetragona..
새로운 것 하나 배워갑니다.^^
찌룽공주
역시.. 놀랍..
전 저 길다란 학명만 보면 그냥 다 제끼고 마는데... ㅎㅎ;;
게시물이 없습니다.